최근 한 여성의 사연이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집안일과 육아에 무관심한 외벌이 남편과의 결혼 생활에 지친 A씨가 이혼을 고민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지난 20일 YTN 라디오 ‘조인섭 변호사의 상담소’에서 소개된 A씨의 사연은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A씨는 남편이 오후에 출근해 밤늦게 퇴근하는 생활을 반복하면서도, 집안에서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가끔 일찍 들어오는 날에도 맥주를 마시며 새벽까지 게임을 하다가 늦잠을 자고, 식사와 과일까지 챙겨줘야만 식탁에 앉는다고 한다. A씨는 "적어도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주길 바랐는데 남편은 손 하나 까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힘들면 너도 게임해"…대화는커녕 무시만
A씨는 남편과의 대화도 이미 포기 상태라고 털어놨다. 어느 날 남편이 일찍 퇴근해 게임만 하길래 화가 난 A씨는 전원을 뽑고 따졌다. 그러나 남편은 "이렇게라도 스트레스를 풀어야 하는데 그게 그렇게 불만이냐"며 "그럼 너도 게임해. 같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면 되잖아"라는 황당한 대답을 내놓았다고 한다.
A씨는 청소 도우미를 한 달에 한 번이라도 쓰겠다고 제안했지만, 남편은 "사치 아니냐"며 단칼에 거절했다. 이에 지친 A씨는 이혼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누리꾼들은 "힘들면 같이 해결책을 찾으려고 해야지, 게임하라는 게 말이 되냐", "이 정도면 동거인이지, 부부가 맞냐", "저런 태도면 평생 바뀌지 않을 듯"이라며 A씨의 고민에 공감을 표했다.
"사위 같은 사람 없다?"…보수적 시댁과의 괴리
문제는 A씨의 친정 부모님조차 남편을 감싸고 있다는 점이다. A씨는 "남편이 외도를 하거나 폭력을 휘두르는 것도 아니고, 월급 관리를 전적으로 저에게 맡긴 사람이라 부모님은 ‘제 복에 겨웠다’는 말까지 한다"고 하소연했다. 하지만 A씨는 주말에도 남편이 육아와 집안일에 전혀 참여하지 않아 고립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현실에 대해 누리꾼들은 "돈만 벌어다 준다고 좋은 남편은 아니다", "정서적 교류가 없는 부부 생활이 무슨 의미냐", "A씨 부모님도 시대착오적이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이 이혼 사유가 될 수 있을까? 박경내 변호사는 "외벌이 가장이 평일에 집안일과 육아를 하지 않는다는 사실만으로는 민법 제840조 제3호의 ‘부당한 대우’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생활이 반복돼 부부 관계가 실질적 파탄에 이르면 이혼 사유로 인정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경제적 기여도와 관련해 박 변호사는 "남편이 외벌이라 경제적 기여도가 높아 보일 수 있지만, A씨가 가사와 육아를 전담한 것 역시 부부 공동재산 유지와 형성에 중요한 기여로 평가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